도내 저수지 부영양화 진행 중… 수질조사대상 늘려야
상태바
도내 저수지 부영양화 진행 중… 수질조사대상 늘려야
  • 엄우식기자
  • 승인 2013.01.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학적산소요구량(COD) 감소, 부영양화 원인인 총질소(TN), 총인(TP) 증가

농업용수 공급이 주목적이던 저수지가 낚시, 수상스키 등 친수수요가 늘어나면서 수질악화가 우려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송미영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도 농업용수 수질현황 및 관리방안>에서 도내 저수지 수질개선을 위해 법적으로 수질조사 대상 확대와 낚시제한 등 기존제도에서 가능한 수단을 동원하고, 행정적으로 수질관리협의회 등 구성을 제안했다.

▲ 수질측정망 운영 전체 7분의 1 수준…기초자료 확보 어려운 실정

과거 농업용수를 공급하던 농업용 저수지는 현재 유역의 도시화와 개발로 친수 및 경관 수요가 늘고 있다. 그러나 오염물질 유입 증가와 기후변화로 인한 수량 변동에 적절한 대응체계는 갖추지 못한 상황이다.

도내 농업용저수지 365개소 중 수질측정망이 갖춰진 곳은 7분의 1 수준인 54개소에 불과하다. 시군 관할 저수지는 대개 유효저수량 10만 톤 미만이며, 이 중 평균수심 10m 미만 저수지가 79개소에 달해 물리적 구조상 부영양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수질 자료를 취합한 대부분의 저수지에서는 부영양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질측정망을 운영 중인 저수지의 최근 10년간 자료 분석 결과,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호소 생활환경기준 ‘약간 나쁨(Ⅳ)’보다 등급이 좋은 저수지가 2007년 이후 감소하고 있으며, 총질소(TN)와 총인(TP)은 2008년을 기점으로 악화 추세다.

월별 수질 농도 중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농경지에 물을 공급해야 하는 4~7월이 상대적으로 높고, 클로로필-a(Chl-a)는 4~9월 호소 생활환경기준 ‘약간 나쁨(35㎎/㎥)’보다 등급이 내려가는 빈도가 많았다. 특히 총질소(TN)는 모든 저수지가 5등급 이상으로 악화 상태였다. 한편, 지역적으로는 경기 북부가 남부보다 상대적으로 수질이 양호한 저수지가 많았다.

현재 도내 저수지는 대부분 농업용수 공급을 담당하지만 낚시, 산책 등 친수활동, 양어장, 수상스키와 수상골프연습장 등으로 용도가 다원화되는 중이다. 특히 낚시터로 이용되는 저수지가 가장 많아, 일부 지자체는 낚시로 인한 수질오염과 쓰레기 가중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낚시금지구역 지정을 강화하는 추세다. 도내 대왕, 보통리, 백운, 오전저수지 등 12개소가 대표적인 낚시금지구역으로 지정 후 화학적산소요구량(COD)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 수질관리 위한 제도적 대응, 협의체 구성 등 능동적 노력 병행 필요

송미영 선임연구위원은 제도적으로 수질 조사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현재 법적 조사 기준인 저수량 50만 톤을 10만 톤 이상으로 변경해 전체의 30%인 109개소까지 조사하자는 것이다. ‘낚시 관리 및 육성법’을 근거로 낚시금지구역 또는 일정기간 낚시금지기간 설정을 활용하는 제안도 덧붙였다.

저수지 관리 예산 부족 해결을 위해 중장기적으로 무상 공급되는 농업용수 수혜자에게 적은 비용이라도 부담하도록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낚시 등 친수활동을 허가제 등과 연계, 이용료 징수 제도 도입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저수지가 다수 소재하는 남부지역부터 관련 업무를 통합하고, 전문 인력을 배정해 효율성을 높일 것을 주문했다. 도내 저수지 현황을 집약하고 이?친수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저수지 백과사전’을 작성해 기존 온라인 지도서비스와 연계하자는 주장도 제시했다.

송미영 선임연구위원은 “저수지 관리는 지자체와 농어촌공사로 이원화되어 있어 두 주체 간 협의와 상호 협조가 농업용수 관리에 필수적”이라며, “경기도는 주도적으로 협력 체계 유도를 위한 협의회 구성과 관련 이해당사자 참여에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