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 위기에 연천군은 또 다시 긴장속에 통일기원.
상태바
안보 위기에 연천군은 또 다시 긴장속에 통일기원.
  • 백호현 기자
  • 승인 2016.02.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일대박이 또 다시일어나는 정부되길.......
 

북한의 잇따른 핵·미사일 도발로 남북 교류의 상징이었던 개성공단이 2004년 첫 가동 이후 12년 만에 사실상 폐쇄 절차를 밟게되 기약없는 사태에 최전방 접경지역의 연천군민들은 또 다시 긴장속.

정부는 "개성공단 가동이 대량 살상 무기 개발에 이용돼선 안 된다"며 "우리의 뼈를 깎는 노력 없이는 국제사회의 제재가 어렵다고 보고 먼저 제재를 취한 것"이라고 했다.

중국 등 국제사회에 강력한 대북(對北) 제재를 요구하기 위해 우리가 솔선수범한다는 말이다. 그간 중국 등에서 "한국이 개성공단을 통해 북에 달러를 공급하면서 다른 나라에 강경 제재를 요구할 수 있느냐"는 지적이 나오는 것을 감안한 선제적 조치인 셈이다.

개성공단은 김대중 대통령 시절인 2000년 6·15 공동선언 이후 남북 간 경제 교류 협력의 상징 사업으로 추진됐다.

그간 총 1조여원이 투자됐고, 작년 생산액은 5억7000만달러 수준이로 현재 124개 기업에서 북 근로자 5만4000명이 일하고 있다. 이런 측면을 고려할 때 공단 가동 중단을 결심하기까지 정부의 고민은 깊었을 것이다.

그러나 북한 핵·미사일 개발을 용인할 수 없다는 결연한 의지를 내외에 보이기 위해선 어쩔 수 없는 선택일 수밖에 없다.

그동안 개성공단에서 북 근로자들에게 지급된 돈(5억6000만달러) 중 상당 부분이 김정은의 통치 자금이나 핵·미사일 개발에 악용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고려됐을 것이다.

북은 중·러·중동·동남아 등지로 노동자 10만여 명을 파견해 연간 3억~4억달러를 벌어들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 회원국들이 북의 노동자를 받지 않도록 하는 조치가 이뤄져야 할것이다.

국제사회는 지난해 경제 제재 압박을 통해 이란의 핵 개발을 동결시키는 협상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란은 북한에 비해 원유 등 대외 교역 규모가 크고 보호자 역할을 하는 나라가 없어 국제 제재가 효과를 발휘했다. 북에 대한 제재는 결국 무역 거래의 8~9할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의 동참이 없는 한 의미가 없다.

북측은 이런조치에 한국의 대통령을 입에 담기 힘든 욕설로 비하하면서 지금 상황을 “조선반도를 전쟁의 최극단으로 몰아가는 선전포고”로 규정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쯤은 아랑곳하지 않겠다는 듯 호기를 부리던 북한이 이처럼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는 건 그만큼 한국의 조치가 아프고 의표를 찔렀기 때문일 것이다.

개성공단 가동중단 조치에 북한이 공단 폐쇄, 군사통제구역 선포를 함으로써 안보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이런 정부의 결단에 초긴장 상태로 돌아온 곳은 바로 연천지역으로 지역경제는 바닥을 치고있는때 또다시 긴 긴장속에 접어들었다.

가뜩이나 군인들의 면회나 외출,외박이 없는 날이면 거리는 죽음의 도시로 변해버리고 이런사태가 장기화되면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도 찾아보기 힘들어 접경지역에 살고있는 주민들은 일상이되어 태연한 척하지만 속내는 타들어간다.

정부의 초강경 대책에 대해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최전방 접경지역에 살고있는 주민들은 지금의 긴장상태가 언제 끝이날지 기약없는 남북의 긴장속에서도 “통일대박을 외치던 박근혜 정부가 또다시 통일을 외치는 소리가 다시 일어나길 연천군민들은 기도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