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컬럼]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상태바
[기고컬럼]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 동두천.연천신문
  • 승인 2023.06.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지원
안지원

[기고컬럼]  한중수교가 이뤄진지 얼마 안 된 1992년 무렵, 성신여대 교직원 최찬규 씨는 수취인 불명으로 버려진 우편들을 정리하다가 중국 우표가 붙어있는 특이한 편지를 발견한다. 호기심에 편지를 뜯어본 그는 그 편지의 수취인, 조창숙 씨를 찾아 편지를 그녀에게 전달한다. 편지를 보낸 이는 40여 년 전 6.25 전쟁에서 죽은 줄 알고 있던 그녀의 남동생 조창호 씨였다.

연희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창호 씨는 6.25 전쟁 때 자원입대 했으나 1951년 인제군 전투에서 포로로 붙잡혀 북한으로 끌려갔다. 그는 동료 포로들과 탈출을 계획하다가 발각돼 강제 노역소를 전전하며 복역하였다. 오랜 강제 노역으로 규폐증에 걸린 그는 압록강변의 산간 마을로 보내졌다. 거기서 알게 된 한 조선족 상인은 최근 한중수교로 한국과 중국 간 서신 교환이 가능하다고 알려주며 남한의 가족에게 편지를 쓰면 전달해주겠다고 했다.

창호 씨는 그의 말을 듣고 가족에게 40여년 만에 편지를 썼다. 주소를 어디로 쓸지 고민하던 그는, 누나가 성신여학교에서 교사로 일했던 것을 기억하고 성신여학교로 편지를 보낸다.

수취인 불명으로 버려질 뻔 했던 편지를 찬규 씨가 발견하여 창숙 씨에게 전달했다. 남동생이 살아있다는 것을 안 창숙 씨는 그를 남한으로 귀환시키려 애썼고 1994년 10월 23일, 창호 씨는 해상을 통해 북한을 탈출해 남쪽으로 왔다. 그는 북한에 납치됐다가 남한으로 돌아온 국군포로 1호이다.

국군포로는 6.25 전쟁의 휴전협상 과정에서 북측에서 송환되지 않은 국군 실종자를 의미한다. 정전협정 때 한국과 UN군은 3만여 명의 북한군 포로를 송환했으나 북한은 포로들이 전향했다는 이유로 8만여 명의 포로 중 8천여 명만 송환했다.

그러나 북한이 전향했다고 주장하며 귀환시키지 않은 포로들 중 일부는 탄광에 징집돼 강제 노역을 하였고 북한 내에서도 적대계층으로 분류돼 자손도 차별을 받았다는 사실이 조창호 씨처럼 귀환한 국군포로를 통해 알려졌다. 그를 시작으로 80여 명의 포로들이 북한을 자력으로 탈출해 남한으로 돌아왔다.

한 사람의 삶이 전쟁의 한 복판에서 완전히 사라졌었다. 그들이 살아있다는 사실을 가족들조차 모른 채 70여년이 흘렀다. 아무도 없던 곳에서 그들은 홀로 견디고 탈출했다. 보훈처는 귀환한 국군포로들이 현충원에 안장될 수 있도록 국립묘지법 개정을 추진하고 귀환하지 못한 국군포로를 위한 추모시설을 건립한다.

2023년 4월 이뤄진 한미공동성명에는 처음으로 한, 미 양국이 납북자와 억류자, 국군포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는 내용이 추가됐다. 자신이 살아있음을 밝히기 위해 멀고 험한 길을 돌아 탈출한 이들을 위해 이제라도 뭘 할 수 있는지 좀 더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